단기 투자 관련
8월 이후 꾸준히 금리 감소 이후 다시 상승함
큰 이슈는 10월 고용보고서가 좋게 나온 것과 트럼프 당선 가능성 상승
고용보고서는 정부 부문 일자리가 크게 늘어 정부가 개입할 것 같기도 함, 베이지북에서는 경기가 그렇게까지 좋은 것 같지는 않음
트럼프가 실제 당선 시 채권 금리 추가 상승 어려움 (선반영)
채권금리가 4.5%까지 상승하면 실물 경기가 더 버티기 어렵다 판단, 더 오르긴 어려울 것
기준금리가 장기적으로 내려간다면 장기금리가 높은 현 시점에서 장기채를 사는 것이 유리
기준금리 하락, 장기채 금리 상승으로 [기준금리<채권금리] 시점에 매수세가 강할 것 예상
24년 말 기준금리 4.5% <채권금리면 채권금리 상방 4.5%이상 어려울 듯
현 시점 전략
- 기존 채권 물린 상태로 4.3% 수준에서 추가 매수 없음, 11월 고용보고서가 좋으면 채권 금리 추가 상승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4.5% 기준 미국 장기채 추가 매수,
- 트럼프 당선 시 선반영된 금리 소폭 하락 가능성 있음. 11/1~11/5 금리 확인 필요
- 고용보고서 않 좋으면 채권 금리 하락 가능성 있음, 홀딩 또는 수익 구간이면 분할 매도
■주식 투자
미국 주식 시장은 통계 상 11월 ~ 4월 일반적으로 좋음. 대통령 1년차 비교적 좋음
: 내년(25년) 상반기까지 좋을 수 있음
부채 한도 협상 필요. 새로운 대통령 임기 시작하자마자 법안 통과 어려움. 내년 상반기 통과 예상
부채 한도 1차 협상 불발 시 채권 발행 X, 정부 돈 풀어 유동성 증가 ㅡ> 주식 시장 호재
: 내년(25년) 상반기까지는 좋을 수 있음
결론
시장은 예측 불가능하기 때문에 분할 매수 필요
변동성 낮은 미국배당다우존스 분할 매수, S&P / 빅테크는 하락 시 매수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