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몬드는 심장 건강에 이로운 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한 대표적인 견과류입니다. 특히 단일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아래 표는 아몬드 100g 기준 지방산의 세부 조성입니다.
[1. 아몬드 100g 지방산 조성]
아몬드 100g에는 총 지방산이 47.8g 함유되어 있으며, 이 중 불포화지방산이 44.0g으로 대부분을 차지합니다. 단일불포화지방산은 31.0g, 다가불포화지방산은 13.0g로 구성되어 있으며, 포화지방산은 3.8g 수준입니다.
구분 | 단위 | 총량 |
총 지방산 | g | 47.8 |
총 필수 지방산 | g | 13.0 |
총 포화 지방산 | g | 3.8 |
총 불포화 지방산 | g | 44.0 |
총 단일 불포화지방산 | g | 31.0 |
총 다가 불포화지방산 | g | 13.0 |
아몬드 100g 영양성분 완전 정리
아몬드 100g의 아미노산 조성표
[1-1. 아몬드 필수 지방산 (불포화지방)]
구분 | 단위 | 총량 |
리놀레산 (18:2(n-6)) | mg | 12,928.9 |
알파 리놀렌산 (18:3(n-3)) | mg | 24.2 |
아라키돈산 (20:4(n-6)) | mg | 0 |
EPA (20:5(n-3)) | mg | 0 |
DHA (22:6(n-3)) | mg | 0 |
[2. 아몬드 포화지방산 조성]
아몬드 100g에는 포화지방산이 총 3.8g 함유되어 있으며, 주요 성분은 팔미트산(3,061mg)과 스테아르산(648.3mg)입니다. 나머지 포화지방산은 미량 또는 거의 검출되지 않습니다.
구분 | 단위 | 총량 |
라우르산 (12:0) | mg | 4.0 |
미리스트산 (14:0) | mg | 29.1 |
펜타데칸산 (15:0) | mg | 5.7 |
팔미트산 (16:0) | mg | 3,061.0 |
헵타데칸산 (17:0) | mg | 24.2 |
스테아르산 (18:0) | mg | 648.3 |
아라키드산 (20:0) | mg | 33.5 |
베헨산 (22:0) | mg | 9.6 |
[3. 아몬드 불포화지방산 조성]
불포화지방산은 총 44g으로, 단일 불포화지방산(31g)과 다가 불포화지방산(13g)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는 아몬드 지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강한 지방 형태로, 심혈관 건강에 이로운 성분입니다.
구분 | 단위 | 총량 |
총 단일 불포화지방산 | g | 31.0 |
총 다가 불포화지방산 | g | 13.0 |
[3-1. 아몬드다가 불포화지방산 조성 (오메가 3, 오메가 6)]
[3-1-1. 아몬드 오메가 3 지방산 조성]
구분 | 단위 | 총량 |
알파 리놀렌산 (18:3(n-3)) | mg | 24.2 |
기타 오메가-3 계열 | mg | 0 |
[3-1-2. 아몬드 오메가 6 지방산 조성]
구분 | 단위 | 총량 |
리놀레산 (18:2(n-6)) | mg | 12,928.9 |
기타 오메가-6 계열 | mg | 0 |